편집자주 현실에선 피해야 할 상대지만 무대 위의 빌런은 작품의 밀도를 높이는 중요한 축입니다. 공연 담당 김소연 기자가 매력적인 무대 위 대항자들을 새롭게 조명합니다. 뮤지컬 '위키드' 중 엘파바(오른쪽)와 글린다가 우정을 이야기하는 '널 만났기에'를 노래하고 있다. 에스앤코 제공 ⓒJeff-Busby '굿 뉴스 / 그녀가 죽었다 / 초록 마녀가 죽었다.' 10여 명의 앙상블이 리본을 흔들며 "그 사악하고 추악한 마녀가 / 오즈 모두의 적, 그 마녀가 / 죽었다 / 굿 뉴스"라고 노래한다. 마녀는 죽었고, 아무도 애도하지 않는다('No One Mourns the Wicked').전통적 권선징악 구조에 익숙한 관객에게는 이야기의 끝으로 여겨질 악당의 죽음. 공공의 적이 사라지는 순간 모두 안도하며 행복해하는 모습은 전형적인 동화의 결말처럼 보인다. 그러나 뮤지컬 '위키드'는 그 결말을 이야기의 시작으로 삼으며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초록 마녀의 죽음은 정말 누구에게나 '굿 뉴스'일까. 12일 블루스퀘어에서 개막하는 뮤지컬 '위키드'는 '사악한 마녀'라고 쉽게 단정했던 인물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단 한 줄의 설명 없이 악의 아이콘이 된 초록 마녀에게 서사를 돌려준다. 혐오와 배제 사회 반영한 우화 아름다운 에메랄드 시티에 도착한 엘파바와 글린다가 들뜬 마음을 '단 하루'라는 넘버로 표현하고 있다. 에스앤코 제공 ⓒJeff-Busby '위키드'는 라이먼 프랭크 바움의 고전 동화 '오즈의 마법사'(1900)를 비튼 그레고리 맥과이어의 동명 소설(1995)이 원작. 도로시가 오즈에 떨어지기 전 시점의 이야기로 '오즈의 마법사' 속 조연인 나쁜(Wicked) 서쪽 마녀와 친절한 남쪽 마녀 글린다가 주인공이다. '위키드'에서 주어진 서쪽 마녀의 이름은 엘파바. 라이먼 프랭크 바움의 머리글자(L, F, Ba) 소리를 본떠 만들었다.'위키드'의 출발점은 오즈라는 세계의 서쪽 마녀가 사실은 사악하지 않고 남들과 다른 피부색 때문에 배척당했다는 발상이다. 알고 보면 엘파바는 정의로운 이상주의자다. 초록 피부와 서툰 매너 때문에 오해를 사지만 마법적 재능이 뛰어나고 약자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칫 등산복 전철 밟을라.”최근 러닝 열풍에 힘입어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들이 러닝화 시장에 집중하고 있지만, 정작 '핫'한 러닝화 브랜드로 떴던 '호카', '온' 등의 주가는 빠지는 분위기다. 러닝화 인기가 시들까 브랜드들이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주가가 빠지는 배경으로 “4050세대가 신기 시작했기 때문”이라는 증권가 분석이 나와 화제다.러닝화 주가 빠지는 이유1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아웃도어 러닝화 브랜드 호카를 보유한 기업 덱커아웃도어 코퍼레이션의 주가는 지난 10일 종가 기준 104.95달러(약 만원)를 기록했다. 최근 1년(52주) 최고가인 223.11달러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러닝화 브랜드 온러닝을 보유한 온홀딩스 주가도 53.31달러로 최근 1년 새 최고가 64.05달러를 하회하고 있다.덱커아웃도어 코퍼레이션의 주가 부진 배경엔 30%대를 웃돌던 호카의 성장률이 주춤한 탓으로 해석된다. 증권가가 기대한 지난 분기 성장률은 14%였으나, 실제 성장률은 그에 미치지 못하면서 2021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하회했다. 호카의 성장이 정체될 수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현지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별도의 유통 업체를 거치지 않고 제조업체를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 직접 판매(DTC)’가 감소한 탓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로 덱커아웃도어는 최근 직접 판매보다는 협력 업체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판매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한편 국내에선 “아저씨들이 신기 시작해 주가가 떨어지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저씨들이 신기 직전까지가 주가 상승 사이클이고, 아저씨들이 신기 시작하면서 성장성 둔화, 주가 하락 사이클 시작이란 분석이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호카와 온러닝 등 러닝화 관련주가 주춤하는 것은 중년층이 신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러닝화, 운동복 등 스포츠 의류 브랜드는 대표적인 임의 소비재로 분류된다. 임의 소비재는 일상에 반드시 필요한 제품이 아닌 자동차 등 일종의 기호 소비 대상을 말한다. 임의 소비재는 주로 젊은 층을 대
댓글목록
등록된 답변이 없습니다.